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9)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git diff와 stash 사용하기 git diff git diff. git diff HEAD === git diff --stage 작업영역 (working place) 스테이징 영역 (staging area). 저장소(repository) (파일 수정,추가,삭제) >. (파일) . (파일) 이라 생각하면 된다. 풀이하자면 git diff는 작업영역의 구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현재작업과 직전작업의 변경부분을 알려준다. git diff HEAD는 이미 git add로 넘어간 다음에 사용 하는 명령어 이다. git diff --staged 도 동일하다. git diff filename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Branch 활용하기 Branch 일반적으로 branch 는 main 또는 master라는 이름의 기본 branch 이다. 이는 프로젝트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생성된다. 마치 중간 save 같은것, 아주 작은 단위로 branch를 나누어 버전을 간편히 옮겨 수정 할 수있다. 따라서 안정성이 확보된다. git의 head란? 현재 작업 중인 커밋을 가리킨다. 즉, '현재 Git이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작업트리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브랜치 생성하기 git branch 브랜치 이동하기 git switch 브랜치 생성하면서 이동하기 git switch -c 터미널에서 모든 브랜치 정리하여 보기 git log --oneline --all --graph 브랜치 삭제하기 git branch -d 모든 브랜치 이름..
[중앙정보처리학원] git* 및 github 사용하기 git 이란 ? 핵심은 버전 관리를 하는 것이다. 협업시 추적이 가능하다. 따라서 코드리뷰, 메세지 등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타인의 코드를 수정할 수도 있다. git 레포지토리 1. 로컬저장소 === 하드디스크 === git 2. 원격저장소 === 인터넷 === github git에 스테이징 하는 순서 !! (우선 터미널을 사용했다) mkdir로 폴더를 만든 뒤, cd 폴더명 으로 이동해주고 위치시켜준 다음! git init => git add 파일명=> git commit 파일명 or git commit -m "기록사항" 으로 해주면 된다 - 그 밖 git의 명령어들 git log / git log --oneline / git checkout 파일명( 이전버전으로 돌아갈 때 ), git checkou..
[중앙정보처리학원] DOM* JavaScript 적용하기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DOM으로 HTML를 조작하는 것이다.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 HTML에 JavaScript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JavaScript 파일은 # js 파일(page_4_js.js) function tmp_func() { document.getElementById("fun_1").innerHTML = "함수 실행됨"; }; function randoms() { var num_1 = Math.random(); num_1 = Math.floor(num_1 * 10) document.getElementById("fun_2").innerHTML = num_1; }; ///////////////////////////..
[중앙정보처리학원] JavaScript* 연산자와 데이터 유형 연산자들 // 산술 연산자 let sum = 10 + 5; // 15 let difference = 10 - 5; // 5 let product = 10 * 5; // 50 let quotient = 10 / 5; // 2 let remainder = 10 % 3; // 1 // 할당 연산자 let x = 10; x += 5; // x = x + 5; // 15 x -= 5; // x = x - 5; // 10 x *= 5; // x = x * 5; // 50 x /= 5; // x = x / 5; // 10 x %= 3; // x = x % 3; // 1 // 비교 연산자 let isEqual = 10 == '10'; // true (값만 비교) let isStrictEqual = 10 === '10'..
[중앙정보처리학원] JavaScript* Spread/rest 문법 Spread 문법 주로 배열을 풀어서 인자로 전달 또는 각각의 요소로 전달 function sum(x, y, z) { return x + y + z; } const numbers = [1, 2, 3]; sum(...numbers) // 질문: 어떤 값을 리턴하나요? rest 문법 파라미터를 배열의 형태로 받아서 사용. 단 파라미터 개수가 가변적일 때 유용 function sum(...theArgs) { let result = 0; for(let idx = 0; idx < theArgs.length; idx++) { result = result + theArgs[idx]; } return result; } sum(1,2,3) // 질문: 어떤 값을 리턴하나요? sum(1,2,3,4) // 질문: 어떤 값을..
[중앙정보처리학원] JavaScript* 클로저 (Closure) A closure is the combination of a function bundled together (enclosed) with references to its surrounding state (the lexical environment). - mdn (2023) 클로저란? 함수와 그 함수 주변상태의 주소 조합 const globalVar = '전역 변수'; function outerFn() { const outerFnVar = 'outer 함수 내의 변수'; const innerFn = function() { return 'innerFn은 ' + outerFnVar + '와 ' + globalVar + '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return innerFn; } 함수 outerFn => 변..
[중앙정보처리학원] JavaScript* 스코프(Scope) 일반 예제 1 let username = 'kimcoding';if (username) { let message = `hello, ${username}!`; console.log(message); // 'Hello, kimcoding!'    함수에 의해서 나뉘는 예제  let greeting = 'Hello';function greetSomeone() { let firstName = 'Josh'; return greeting + ' ' + firstName;}console.log(greetSomeone()); // 'Hello Josh'     스코프의 정의와 규칙안쪽 스코프에서 바깥쪽 스코프로만 접근 가능    지역변수와 전역변수가 있다.let name..